mastodon.zunda.ninja is one of the many independent Mastodon servers you can use to participate in the fediverse.
Zundon is a single user instance as home of @zundan as well as a test bed for changes of the code.

Administered by:

Server stats:

1
active users

#bluesky

2 posts2 participants0 posts today

Threadsの利用者がTwitterに肉薄しているんだと。TechCrunchの記事では、Twitterは嫌だけどBlueSkyの左派エコチェンバーが嫌な人の受け皿がThreadsではないかという分析をしてるのだけど、それならTwitterから出る必要がなくない? #twitter #bluesky #threads

Threads is nearing X's daily app users, new data shows | TechCrunch: techcrunch.com/2025/07/07/thre

TechCrunch · Threads is nearing X's daily app users, new data shows | TechCrunchThreads' mobile app for iOS and Android saw 115.1 million daily active users, representing 127.8% year-over-year growth.

「Gobo」というクロスポストサービスを知ったので試してみる。

gobo.social

MastodonとBlueskyでは投稿の文字数上限が異なるけど、文字数オーバーするような長文を投稿するときに、それぞれ別の位置で区切ってスレッド化できるというのは便利だな。

例えば標準のMastodonでは500文字、Blueskyでは300文字だけど、400文字の投稿をしたいときには、Mastodonは1投稿で投稿できて、Blueskyは文字数オーバーするので任意の位置で分割してスレッドとして投稿できる。

Mastodonの方は公開範囲も選択できるしCWも使える。

投稿入力画面で、各プラットフォームのプレビューもリアルタイムで確認できる。

メンションは、それぞれ別のメンションを付けることができる。

デモ動画。英語だけど、使い方の雰囲気はわかるよ。

spectra.video/w/kMNroBH9V7zaEE

この投稿はFedibirdとBlueskyにクロスポストしています。

#Gobo #mastodon #bluesky #fedibird [参照]

#Fediverse にいてもこういう傾向は感じるし、#Bluesky はまだニュースになるけど :fediverse: のことは話題にもならない、みたいなことはありそう。

Xの代替SNS「Bluesky」で特定意見が増幅するエコーチェンバー深刻…利用者半減 - 産経ニュース sankei.com/article/20250615-VO

ただ、アルゴリズムフリーという点は #Fediverse :fediverse: の良いところだとは思う。

自分が自分自身や自分のいる場所・サーバー・フォローしている人とかに対する「偏り」に自覚的になるということのほうが大事というか…
「アルゴリズムで完全にフェアで中立な SNS 空間をつくれる」と考えるほうがむしろ良くない気がしていて、そういう意味で #BlueSky はまだそういう発想を捨てきれずにいるような気がしている。

まあ、その発想を捨てると、一緒にSNS空間のキュレーション効果みたいなものも弱まるし、実際に #Fediverse みたいな牧歌的な仕組みの「時系列タイムライン」にあまり人が集まらないというのもそういうことなんだろうなあとは思っている。
(けど、自分はここがけっこう気に入ってる :tony_happy:

産経新聞:産経ニュース · Xの代替SNS「Bluesky」で特定意見が増幅するエコーチェンバー深刻…利用者半減By 西山 諒
Replied in thread

@Gargron sometimes I wonder what can we learn from #Twitter or even #Bluesky in terms of social medias like it.. quote posting, I think I'm fine with it, I just saw that it *could* be worse if implemented like in Twitter, I do hope that at least, since switching microblogging IS easier than like #Youtube or #Twitch it can finally build a sizable space in the internet.

Is Quoting Posts a way? Yeah, I think so, but also like.. a bunch, I can't remember it on the top of my head.. Welp, that's life

Replied in thread

@Mastodon it will be tricky to liberate people from legacy social media platforms. People that embrace the values and vision of the #fediverse have already migrated years ago, despite the usability issues. New opportunities do come when there are major shocks, like political events but luck favors the prepared: #bluesky grew a lot as of late because of a smoother UX and catering in particular to US users fleeing X/Tweeter.

Tough job but failure not an option 🙏😍😬🖖

Replied in thread

@eff Not as bad as losing a visa, but on #Bluesky the blocklists are being abused hard by the far-right. Not too long ago I found out my casual art and gaming account had been added to a blocklist with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called "Drama: people engaging in drama, usually angry politics."

The politics related posts on that couple of years old account can be counted with fingers of one hand, and there's zero arguing or debating with anybody. Seems those lists originally created to block Nazis are nowadays used by Nazis to make random people they don't like blocked. What's even funnier, my actual politics account with lots of angriness and frustration isn't on that list.🤷 Don't trust makers of those lists blindly.

Replied in thread

@osma

"it's a #publicBenefitCorporation"

that has no legal bite

it means a company *may* pursue ill defined "public benefit" instead of profit

it doesn't *have* to

shallow feel good marketing

"it's #decentralized"

in theory

like #cryptocurrency hype, #bluesky promises a lot and delivers little, and #FOMO dum dums buy into the promise rather than the reality

it's only a matter of when, not if, the #crypto bro owners of bluesky do to it what #musk did to #twitter

bsky.social/about/blog/10-24-2

Continued thread

#Adobe に教えてあげたいこととしては、#fedivere :fediverse: #Mastodon :mastodon: ならサーバーごとにある程度、雰囲気や嗜好性が違うので #Adobe に好意的なサーバーもあるだろうし、自分で #Adobe ユーザー用のコミュニティースペースとしてサーバーを立てる事もできる(それこそここ
#VovaldiSocial :vivaldi_blue: のように)から、うまくやれば #BlueSky で受けた仕打ちほどメタメタにされないかもよ、ということ。
(まあただ主要な :mastodon: サーバーとかは #Adobe に親和性はあまり高くなさそうだし、そっちではもしかしたら #BlueSky 以上にボコボコにされちゃうかかもしれないけど。

New: Fediverse Report 109

This week, an essay about #Bluesky's proposal for setting user preferences on their accounts. This allows people to indicate how they want their data to be handled off-protocol. I wrote about how the #fediverse can improve on this, using its strengths of many different communities, each with its own culture and values.

Also:
- Next week is the digital conference @fediforum
- A research dataset to compare Threads and Mastodon users

Read at: fediversereport.com/fediverse-

fediversereport.com · Fediverse Report – #109
More from Laurens Hof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

https://hackers.pub/@hongminhee/2025/bluesky-a-good-alternative-to-x-not-to-the-fediverse

Hackers' Pub ·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최근 X(구 Twitter)를 떠나는 사람들이 늘면서 Bluesky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Bluesky는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과거 Twitter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이탈(credible exit)이라는 매력적인 개념을 내세워 X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Bluesky와 그 기반 프로토콜인 AT Protocol을 연합우주(fediverse)의 대안으로 보기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Christine Lemmer-Webber 씨(@cwebber)의 날카로운 분석(〈Bluesky는 실제로 얼마나 탈중중앙화 되어 있나〉 및 〈답장: 답장: Bluesky와 탈중앙화〉)을 바탕으로, Bryan Newbold 씨(@bnewbold)의 반론(〈Bluesky와 탈중앙화에 대한 답변〉)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Bluesky가 어째서 X의 대안은 될 수 있어도 연합우주의 대안은 될 수 없는지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메시지 전달 對 공유 힙: 근본적인 설계 차이 Bluesky와 연합우주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설계입니다. 연합우주는 이메일이나 XMPP와 유사한 메시지 전달(message passing)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수많은 서버 중 단 몇 곳의 사용자만 특정 메시지에 관심을 있다면 해당 서버에만 메시지를 전달하면 됩니다. 비유하자면, 철수가 영희에게 편지를 보내려면 직접 영희의 집으로 편지를 보내고, 영희가 회신하고 싶으면 직접 철수에게 회신하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반면, Bluesky는 공유 힙(shared heap)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메시지를 특정 수신자에게 직접 보내는 대신, 모든 메시지를 중앙의 “릴레이”라는 곳에 저장하고, 관심 있는 사용자가 릴레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마치 모든 편지가 하나의 거대한 우체국(릴레이)에 쌓이고, 각자가 이 우체국에 방문하여 자신에게 관련된 편지를 직접 찾아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방식에서는 메시지가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답글이 어떤 메시지에 대한 것인지 파악하려면 모든 가능한 메시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설계는 데이터와 색인을 분리하여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필연적으로 대규모 중앙 집권화된 릴레이에 의존하게 되어 탈중앙화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어진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Bluesky가 공유 힙 방식을 채택하고 중앙 집권화된 릴레이에 의존하게 되는 데에는 운영 비용이라는 현실적인 이유가 크게 작용합니다. Christine Lemmer-Webber 씨의 분석에 따르면, Bluesky에서 전체 네트워크 기록을 저장하는 릴레이를 운영하는 데에는 상당한 스토리지를 요구하며, 이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에는 약 1TB의 저장 공간이 필요했지만, 불과 4개월 후인 11월에는 약 5TB로 증가했습니다. 상업용 호스팅 서비스 기준으로 이는 연간 수만 달러(약 $55,000)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연합우주에서는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가 Raspberry Pi와 같은 저렴한 장비로도 GoToSocial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독립적인 노드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물론 대규모 연합우주 인스턴스는 더 많은 비용이 들겠지만, Bluesky의 전체 릴레이 운영 비용과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저렴합니다. 이처럼 운영 비용의 현격한 차이는 Bluesky가 분산된 구조를 채택하기 어렵게 만들고, 결국 중앙 집권화된 릴레이에 의존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전역 뷰에 대한 집착과 중앙 집권화의 심화 Bluesky는 댓글 누락과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체의 일관된 전역 뷰를 유지하는 데 집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목표는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긍정적일 수 있지만, 필연적으로 중앙 집권화를 야기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차단 목록의 전체 공개입니다. 네트워크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누가 누구를 차단했는지 모든 앱뷰가 알아야 하므로, 차단 정보가 공개되는 것입니다. 이는 개인 정보 보호 측면에서 심각한 우려를 낳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누군가의 게시물을 보고 차단된 사람을 추측하는 것과, 네트워크에 “J.K. 롤링을 차단한 모든 사람”을 직접 질의할 수 있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로 ActivityPub 개발 과정에서는 이런 문제를 고려하여 서버 간에 차단 활동을 전달하지 않도록 명시적으로 설계했습니다. 이는 차단한 사람이 차단당한 사람의 보복을 받을 위험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반면 연합우주에서는 각 서버가 독립적으로 차단 정책을 시행하며,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제공합니다.AT Protocol과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ActivityPub 연합우주의 핵심 프로토콜인 ActivityPub은 W3C의 채택 권고안으로, 개방형 표준입니다. 이는 누구나 자유롭게 구현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합니다. 현재 페디버스 커뮤니티는 FEP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프로토콜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반면, Bluesky의 AT Protocol은 아직 특정 사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지위는 아직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페디버스가 가진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DM의 중앙화 Bluesky는 콘텐츠 주소 지정이나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와 같은 탈중앙화 요소를 도입했지만, DM은 완전히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어떤 PDS를 사용하든, 어떤 릴레이를 사용하든 상관없이 모든 DM은 Bluesky 회사를 통해 전송됩니다. 이는 Bluesky가 아직 기능적으로 완전한 Twitter 대체품이 되기 위해 속도를 우선시했다는 증거입니다. Bluesky는 이 DM 시스템이 장기적인 솔루션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DM도 AT Protocol의 다른 기능처럼 작동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중앙화된 DM 구현은 “신뢰할 수 있는 이탈”이라는 Bluesky의 핵심 가치와도 모순됩니다. 만약 Bluesky社가 적대적인 인수나 정책 변경을 겪게 된다면, 사용자들의 개인 대화는 완전히 회사의 통제 하에 남게 됩니다.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와 DID: Bluesky 방식의 한계 Bluesky는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portable identity)를 핵심적인 장점 중 하나로 내세우며, 이를 위해 DIDs, 즉 분산 식별자를 활용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과 데이터를 다른 플랫폼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Christine Lemmer-Webber는 AT Protocol이 채택한 did:web과 did:plc 방식이 여전히 DNS와 Bluesky社가 관리하는 중앙 집권화된 PLC 레지스트리에 의존하고 있어 완전한 사용자 통제하의 독립적인 아이덴티티를 제공하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더 놀라운 점은 Bluesky社가 초기에 모든 계정에 대해 동일한 rotationKeys를 사용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클라우드 HSM 제품이 키별로 비용을 청구해서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키를 제공하는 것이 금전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DIDs 시스템을 구축하는 근본적인 목표와 모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점은 DIDs 기술 자체가 탈중앙화된 아이덴티티를 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Bluesky와 AT Protocol이 채택한 특정 방식이 중앙 집권화된 요소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DIDs와 같은 진정으로 탈중앙화된 방식도 존재하지만, AT Protocol은 비교적 구현이 쉬운 did:web과 did:plc를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Bluesky 생태계를 벗어나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완전히 독립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때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시스템에서는 Bluesky社가 사용자의 키를 대신 관리하고 있어, 사용자가 현재는 Bluesky社를 신뢰하더라도 미래에 신뢰하지 않게 된 경우에도 여전히 회사에 의존해야 합니다. Bluesky社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이동을 수행하도록 신뢰해야 하며, 심지어 Bluesky社가 사용자에게 향후 신원 정보를 제어할 권한을 위임하더라도 Bluesky社는 항상 해당 사용자의 키를 통제할 것입니다. 한편, 연합우주에서는 이미 노마딕 아이덴티티(nomadic identity)라는 개념을 통해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는 단순히 계정을 이전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데이터와 관계, 심지어 평판까지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We Distribute》에 실린 기사 〈오, Zot! ActivityPub에 노마딕 아이덴티티가 도입된다〉에 소개된 Zot 프로토콜과 같은 기술은 이미 연합우주 안에서 이러한 노마딕 아이덴티티를 구현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FEP-ef61와 같은 제안을 통해 ActivityPub 자체를 개선하여 더 나은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 기능을 추가하려는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그래서, 결론은? 결론적으로, Bluesky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신뢰할 수 있는 이탈 기능을 통해 X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Bluesky는 콘텐츠 주소 지정 방식을 통해 노드가 다운되더라도 콘텐츠가 살아남을 수 있게 하는 등 연합우주가 아직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몇 가지 강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앙 집권화된 설계, 전역 뷰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부작용,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한계, DM의 중앙화, 그리고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 구현의 제한점 등 여러 측면에서 연합우주의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연합우주는 메시지 전달 방식의 분산된 아키텍처, 낮은 참여 장벽, 개방형 표준 기반의 활발한 커뮤니티 개발, 그리고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자율성과 통제권을 제공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구축된, 근본적으로 다른 종류의 탈중앙화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또한, Bluesky社가 벤처 캐피털 자금을 확보함에 따라 “조직은 미래의 적이다”라는 그들의 자체 인식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수익과 플랫폼 성장이라는 상업적 압력이 진정한 탈중앙화 추구보다 우선시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유료 계정과 광고가 도입되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Bluesky는 X를 대체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연합우주가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가치와 경험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다른 목표와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이상적으로는 서로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